한국군 군복 역사1 일제강점기와 한국 군대/경찰 유니폼 변화 (식민지 시대와 해방 이후 변화) 1. 일제강점기 조선군과 경찰 유니폼 – 식민지 통제의 상징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조선의 군대는 해산되었고, 일본군과 헌병경찰이 조선을 통치하는 체제가 확립되었다. 이 시기의 군대와 경찰 유니폼은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기능하며, 조선인들을 억압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1) 조선군(대한제국군)의 해산과 일본군의 군복 도입대한제국 말기(1897~1910)에는 서구식 군복을 참고하여 청색 또는 회색 계열의 군복을 착용하였으나, 한일병합 이후 조선군은 해산되고, 일본군이 조선을 장악하였다.일본군은 기존 대한제국군의 유니폼을 폐지하고, 일본 육군과 동일한 갈색 계열의 군복을 조선 지역에서도 사용하였다.일부 조선인들은 '조선보병대'나 '일본군 부대'에서 복무하며 일본군 군.. 2025. 2. 14. 이전 1 다음